본문 바로가기
사회

인턴부터 전공의, 레지던트, 교수까지 월급 얼마 받을까?

by 건강전도사1004 2025. 5. 5.

 

💰 안녕하세요! 자주오면 건강해지는 블로그입니다

오늘은 대학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들의 직급별 월급에 대해

하나하나 현실적으로 알려드릴게요 😊


🧑‍⚕️ 병원 의사 직급, 이렇게 나뉘어요!

 
단계
주요 직책
1단계
인턴 (수련의, 1년)
2단계
레지던트 (전공의, 3~4년)
3단계
펠로우 (임상강사, 1~2년)
4단계
전문의 (개원 or 병원 근무 가능)
5단계
대학병원 교수 (조교수 → 부교수 → 정교수)

 


1️⃣ 인턴 (Intern)

  • 🗓 기간: 의대 졸업 후 1년간
  • 📍 역할: 다양한 진료과를 돌며 진로 탐색
  • 🧪 업무 강도: 매우 높음 (당직 많고, 행정 업무 많음)
  • 💸 평균 월급: 약 300만 원~330만 원
  • 💡 수당 포함 시 연 4,000만 원 수준

👉 하루 12~16시간 이상 근무에 비해 낮은 급여 수준


2️⃣ 전공의 / 레지던트 (Resident)

  • 🗓 기간: 전공과 선택 후 3~4년 수련
  • 📍 R1 ~ R4로 불림
  • 🩺 역할: 입원·수술·진료·연구 등 전반적인 병원 업무
  • 🧪 업무 강도: 인턴보다 더 높음 😓
  • 💸 평균 월급:
  • R1: 350만 원 내외
  • R4: 450만~500만 원
  • 💰 연봉 기준: 약 5,000만~6,500만 원

※ 야간 당직 수당, 명절 수당 등 포함


3️⃣ 펠로우 (Fellow, 임상강사)

  • 🗓 전문의 이후 세부전공 수련 (1~2년)
  • 📍 전문의이지만 교수는 아님
  • 💡 실제 진료와 수술을 상당 부분 담당
  • 💸 월급: 약 500만~650만 원 선
  • 💰 연봉: 평균 6,000만~8,000만 원

📌 근무 시간은 여전히 전공의급인데, 급여는 전문의보단 낮은 편입니다.


4️⃣ 전문의 (Specialist)

  • 🗓 수련 수료 후 국가고시 합격 → 전문의 자격
  • 💡 진료, 수술, 연구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
  • 📍 대학병원 or 개원의 길로 나뉨

💸 월급 수준

  • 대학병원 근무 전문의: 연봉 약 8,000만~1억 원 내외
  • 수술량 많고 진료 성과 우수하면 추가 인센티브 가능

5️⃣ 교수 (Staff / Professor)

  • 🗓 펠로우 이후 임용 → 조교수 → 부교수 → 정교수
  • 📍 진료 + 수술 + 연구 + 교육 모두 수행
  • 🧠 논문·강의·학회활동 필수

💸 교수 연봉 (대학병원 기준)

 
직급
연봉 범위
월급 (세전 기준)
조교수
9,000만 ~ 1.2억 원
750만 ~ 1,000만 원
부교수
1.2억 ~ 1.5억 원
1,000만 ~ 1,250만 원
정교수
1.5억 ~ 2억 원 이상
1,250만 원~ 이상

 

📌 성과급, 논문 수당, 강의료 등 별도로 들어가

👉 실수령액은 개인차가 큽니다!


📋 직급별 월급 요약표

직급
연봉 (대략)
월급 (세전 기준)
비고
인턴
3,600만~4,000만
300만~330만
수당 포함
레지던트
5,000만~6,500만
350만~500만
R1~R4
펠로우
6,000만~8,000만
500만~650만
전문의 이후
전문의
8,000만~1억
650만~900만
대학병원 근무 기준
조교수
9,000만~1.2억
750만~1,000만
교수 임용 초기
정교수
1.5억 이상
1,250만 이상
진료·연구·교육 모두

 


💡 참고사항

  • 상기 금액은 서울권 대학병원 기준이며
  • 지방/사립병원/국립병원에 따라 변동 가능
  • 야간당직, 수술량, 실적에 따라 수당 차이 큼
  • 의료계는 아직도 ‘업무량 대비 급여가 낮은 직종’으로 평가되기도 해요 😢

 

#의사월급 #전공의급여 #대학병원의사연봉 #펠로우월급 #전문의월급 #의사직급 #슬기로운전공의생활 #의사되는법 #인턴급여 #네이버블로그 #서로이웃 #서로이웃환영 #이웃환영


더 건강한 정보를 원한다면 공감, 하트, 이웃추가! ❤️

 

반응형